2023년 6월에 출시될 청년도약계좌는 매달 계좌에 최대 70만원씩 저축하면 정부가 기여금을 지원해주고, 만기시에 비과세 혜택을 준다.
가입조건
- 나이 : 만 19세 ~ 만 34세 청년(군대에 다녀온 경우, 군복무 기간을 제외한다)
- 본인 소득 : 전년도 기준 7,500만원 이하인 경우
- 가구 소득 : 전년도 가구 소득이 중위 180% 이하인 경우 (주민등록등본을 떼서 나온 인원의 소득을 합쳐 월 910만원 이하인 경우가 해당된다.)
- 가입기간 : 5년
개인 소득별 정부 기여금 지급 구조
정부 기여금은 개인 소득에 따라 다르게 주어지며, 매달 최대 24,000원까지 지원해준다. (단, 소득이 6000만원 이상인 경우 정부 지원금은 없고 비과세 혜택만 받을 수 있다.)
예를 들어 소득에 따른 기여금 지급한도를 계산해보자.
개인소득이 2,400만원 이하인 경우 기여금 지급한도가 40만원이므로 매달 40만원만 넣어도 최대 기여금인 24,000원을 받을 수 있다.
그럼 70만원을 넣으면 안되는 것일까? 안되는 게 아니고 70만원을 넣어도 최대 기여금인 24,000원을 받게 된다.
개인소득이 4,800만원을 초과하고 6,000만원 이하인 경우는 해당 소득구간의 최대 기여금인 21,000원을 받기 위해서는 기여금 지급한도인 70만원을 모두 넣어야 한다.
청년도약계좌 금리
가입 후 최소 3년간 고정금리가 적용되고, 이후 2년간은 변동금리가 적용된다. (단, 고정금리는 아직 정해지지 않았다.)
중도해지
중도해지하면 정부 기여금과 비과세혜택은 지원받을 수 없게 된다.
예외로 중도해지 사유가 가입자의 사망 및 해외이주, 퇴직, 사업자의 폐업, 천재지변, 장기치료가 필요한 질병 등이라면 중도해지를 해도 혜택을 받을 수 있다.
청년도약계좌 무조건 가입해야할까?
가입기간 5년동안 70만원씩 납입하면 정부의 지원금이 더해져 만기시 5000만원을 돌려받을 수 있다. 은행이 더해주는 금리와 나라에서 보태주는 지원금까지 합치면 시중적금과 비교해 혜택이 어마어마하다.
하지만 5년동안 끊이지 않고 매월 70만원 씩 매년 840만원을 납부하는 게 쉬운일은 아니다. 청년도약계좌에 가입한 뒤 부득이 하게 중도해지를 하게 되면 혜택을 받을 수 없게 되는데 청년도약계좌에 가입한 기간동안 다른 투자처를 놓칠 가능성도 있다. 그렇다고 청년도약계좌를 유지하기 위해 필요한 돈을 대출로 마련한다면 대출 이자 등 내야할 돈이 늘어나게 된다. 돈이 필요할 경우에도 무조건 청년도약계좌를 유지하는 게 아니라 중도해지로 잃는 혜택과 대출에 의한 비용을 비교해야 할 것이다.
그러므로 5년동안 중도해지 없이 청년도약계좌를 유지할 자신이 있을 때만 가입하는 게 좋겠다.
'경제지식창고' 카테고리의 다른 글
토스뱅크 카드 해외결제 2% 캐시백 축소 (2023년 3월 1일) (0) | 2023.03.06 |
---|---|
해외송금 수취가능한 카카오뱅크 SWIFT CODE 영문은행명 (0) | 2023.02.27 |
재건축 규제 대폭 완화되는 1기 신도시 특별법 쉽게 보자 (0) | 2023.02.24 |
자동차세 연납 (0) | 2023.01.17 |
7월 재산세 내는 달, 재산세 계산 방법 (0) | 2021.07.13 |